
458. 섬서 태백산 유백온 비기(陝西 太白山 劉伯溫 碑記) ㅡ"원문과 해석" (1)"어려운 시기에 지구인류여러분들 조심하시고 이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빈다". "(코로나19로 돌아가신 분들의 영전에 명복을 빕니다.)"
1). 天有眼 地有眼, 人人都有雙眼,
천유안 지유안, 인인도 유쌍안,
해석; 하늘에도 눈이 있고 땅에도 눈이 있어, 사람들도 두 눈이 있지.
2). 天也翻 地也翻, 逍遙在 樂無邊,
천야번 지야번, 소요재 락무변,
해석; 하늘과 땅이 엎치락 뒤치락 하더라도, 속박도 굴레도 없이
소요자재하니 가없는 즐거움이로다.
3). 貧者一萬留一千, 富者一萬留二三,
빈자일만류일천, 부자일만류이삼,
해석; 가난한자는 일만명에 일천명이 머물고,
부자는 일만명에 두세명이 머문다네,
4). 貧富若不回心轉, 看看死期在眼前,
빈부약불회심전, 간간사기재안전,
해석; 빈부간에 마음(心)을 굴려서 회복하지 않는다면,
눈앞에 보이는건 보이는건 죽음뿐이로고,
마음을 굴려서 회복하는 방법은 "한림도 修道"이다.
실지로 마음이 구른다. 눈동자가 구른다.
5). 平地無有五谷种, 謹放四野絶人烟,
평지무유오곡종, 근방사야절인연,
해석; 평지인데도 5곡의 종자가 있고 없고는,
사방의 들을 주의깊게 살펴보면,
사람의 연기가 끊어졌기 때문이더라.
곡식 곡(谷), 어릴 충(种), 씨 종(种), 심을 종(种)
근방(謹放); 주의깊게 방비할 지어다,
6). 若問瘟疫何時現, 但看九冬十月期,
약문온역하시현, 단간구동십월기
해석; 온역이 일어날 때가 언재인가 한다면, 단지 9월 10월에
겨울이 드는 해라고 기약할 수 있다고 보내.
7). 行善之人得一見, 作惡之人不得觀,
행선지인득일견, 작악지인부득관,
해석; 선을 행한자는 한번이라도 이글을 얻어보지만,
악행한 자는 이글을 얻어 보지 못하리라.
8). 有人行大善, 即速抄寫四方傳,
유인행대선, 즉속초사사방전,
해석; 선한일을 많이 행한 사람이라면,
재빨리 필사해서 사방에 전하라.
9). 富者損資刊版, 貧者抄寫天下傳
부자손자간판, 빈자초사천하전,
해석; 부자는 자신의 돈으로 간행출판하고,
빈자는 필사(복사)하여 천하에 전하라.
10). 寫一張免一難, 抄十張能保全
사일장면일난, 초십장능보전
해석; 한장 베끼면 환란 한번을 면하고,
열장 베껴쓰면 환란에서 능히 보전하리라.
11). 倘若看見不傳送, 一家大小受罪愆,
양약간견부전송, 일가대소수죄건,
해석; 만약 제대로 보고 알아보면서도 전송하지 않는다면,
일가족(한가족)이 크고작은 죄와 허물을 입으리라.
12). 有人看破畿件事, 逍遙快樂是神仙,
유인간파기건사, 소요쾌락시신선,
해석; 사건이 몇인지(얼마인지) 간파할 사람이 있다면,
소요자재 쾌락한 신선(神仙)으로 볼 수 있지.
13). 遭了此劫不上算, 環有十愁在眼前
조료차겁불상산, 환유십수재안전
해석; 만난 위협적인 이 겁난이 언재 끝나리라는 것이
윗선에서는 셈이 안되나봐!
열가지 근심거리가 눈앞에 돌아와 있는데도 말이다.
14). 一愁天下紛紛亂, 二愁東西餓死人
일수천하분분난, 이수동서아사인
해석; 첫번째 근심은 천하가 어지럽고 어지러우며,
두번째 근심은 동서 사방에 굶어죽은이가 널렸으며,
15). 三愁湖廣遭大亂, 四愁各省起浪烟,
삼수호광조대란, 사수각성기랑연,
해석; 세번째 근심은 대환란이 강호에 넓게 퍼질거며,
네번째는 근심은 각성마다 어수선한 연기가 피어올라,
"어려운 시기에 지구인류여러분들 조심하시고
이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빈다".
"(코로나19로 돌아가신 분들의 영전에 명복을 빕니다.)"
2020년 2월 24일 21시 50분.
한림도 미륵 金성생불교 합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