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67. 유백온 금릉탑 비문(劉伯溫 金陵塔 碑文) ㅡ 원문과 해석분 수록. (1)
*본 비문의 글자는 특히 원자를 파자로 파자를 원자로 다시
복원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비문을 설명하여 자신의 뜻을
후세에 남기고자 하였다.*
1)碑文; 金陵塔, 金陵塔, 劉基建, 介石拆, 拆了金陵塔, 軍民自己殺.
비문; 금릉탑, 금릉탑, 유기건, 개석탁, 탁료금릉탑, 군민자기살.
해석; 금릉탑, 금릉탑, 유기가 세우고, 개석이 부신다.
금릉탑을 부시면, 군과 민이 서로를 죽이리라.
2)碑文; 草頭相對草頭人.
비문; 초두상대초두인
해석; 한자 초두변이 상대이고, 초두변이 있는 사람이야.
3)碑文; 到尾 只是半縮龜, 洪水黃流成澤國, 路上行人背向西.
비문; 도미 지시반축구, 홍수황류성택국, 로상행인배향서.
해석; 거북이 줄여 꼬리(尾) 절반인 글자와, 나라에 누런 황토물이
흘러가고 남는 글자와, 노상에서 서를 등진 행인이 보는방향의
이 글자를!
4)碑文; 日出東, 日沒西, 家家戶戶受慘淒
비문; 일출동, 일몰서, 가가호호수참처
해석; 동쪽 아시아의 뜨는 해가, 서쪽 미국으로 지는 해가 되나.
5)碑文; 德逍遙, 意逍遙, 百載繁華一夢消.
비문; 덕소요, 의소요, 백재번화일몽소.
해석; 일본과 도이치 deutsch(德意志)국이 멸망하니
백년 번영이 한마장 꿈이런가?
6)碑文; 紅頭旗, 大頭星.
비문; 홍두기, 대두성.
해석; 붉은 머리 깃발에 큰머리 별들 ,
7)碑文; 家家戶戶吊伶仃.
비문; 가가호호조금정.
해석; 가가호호 죽은 듯이 어려워라.
8)碑文; 三山難立足, 五子齊榮升.
비문; 삼산난립족, 오자제영승.
해석; 사람 산은 발로 서기 어려워라,
다섯이 영화롭고 가지런한 씨에 오르는 구나.
9)碑文; 心忙忙, 意忙忙, 淸風橋拆走如狂.
비문; 심망망, 의망망, 청풍교탁주여광.
해석; 마음도 뜻도 모두 엄청 바뻐서,
청풍교다리가 부서지듯 미친듯이 달리네.
10)碑文; 爾一黨時我一黨.
비문; 이일당시아일당.
해석; 너 한무리의 때와 내 한무리.
11)碑文; 坐高堂, 食高梁, 全不計及他人喪.
비문; 좌고당, 식고량, 전불계급타인상.
해석; 높은 집에 앉아 고량을 먹으면서,
옆에서 상(喪)을 당했는데도 돌보지 않더라.
12)碑文; 廿八人孚眾望, 居然秧針勝刀槍.
비문; 입팔인부중망, 거연앙침승도검.
해석; 두 손으로 공을 받들고 팔점을 찍는 사람
뭇사람의 바람은, 뾰족한 벼의 모가 창검을 이기나.
13)碑文; 小星光, 蔽星光, 廿將二人走北方.
비문; 소성광, 폐성광, 입장이인주북방.
해석; 작은 별빛이 별빛을 가리니,두손을 받들어
조각달에 점찍는 손마디가 이사람의 위(북)로 달려가네.
14)碑文; 去家木, 路傍徨, 到處奔波人皆謗.
비문; 거가목, 로방황, 도처분파인개방.
해석; 집을 버린 나무가 길곁에서 헤메며는,
도처에서 분파된 사람들이 모두들 헐뜯구나.
15)碑文; 大海落門閂. 河廣未爲廣.
비문; 대해락문산, 하광미위광.
해석; 한 사람이 각 풀에 모(지)로 석점을 찍으려면
두 문의 빗장을 걸어야지,
두 바위집을 누르고 누르고 하지않을까?
2020년 03월 01일 22시 40분.
한림도 미륵金성생불교 합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