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26일 목요일

711. 새사삼(賽四三) 2 (삼풍 상권 278, 279쪽) 일수이수 앵회지(一水二水 鶯回地) ~ 일인교화 갈자영무 의(一人敎化 渴者永無 矣).

711. 새사삼(賽四三) 2 (삼풍 상권 278, 279쪽) 일수이수 앵회지(一水二水 鶯回地) ~ 일인교화 갈자영무 의(一人敎化 渴者永無 矣). 원문 ; 天 ; 일수이수 앵회지 (一水二水 鶯回地 ) 이재석정 영생수원(利在石井 永生水源) 일음연수 가피온역(一飮延壽 可避瘟疫) 사막천출 금수강산(沙漠泉出 錦수江山) 地 ; 일인교화 갈자영무의(一人敎化 渴者永無 矣) 해석 ; 1 天 ; 한물과- 두물이- 빙빙도는 땅에- - 이로울돌 우물에는 영원한- 생명물이 하번마셔 장수하고 병고가- 물러가네 적은두물 풀말일대 말한점수 금수강산 (비단강산 금손쓰면 사막샘물 솟아나와) 地 ; 한사람의 교화로써 목마른자 영영없네 해석 ; 2 天 ; 눈속의 물이 흰돌눈알을 빙빙 돌아다니는 위에 있는 땅 감은 눈의 모습을 보아야 알 수 있어(삼풍상권 표지를 대조 확인) 이로울 돌은 흰돌 눈알. 눈속의 물이 밖으로 나오며는 떨어지는 눈물이요, 몸안으로 흘러들게 하 면 오래살고 병을 고침. 온역(瘟疫) ; 염병 온(瘟) 염병 역(疫). "錦수江山"에서 수자의 한자를 파자하면, 쇠 금(金)변에 손 수(手)의 상형문자와 쓸 용(用)자로 되어있다. 이말은"비단강산에 금의손을 쓰면 사막에서 샘이 솟아 나와"이다."사막천출 금수강산"을 모두 해석하면, 비단강산에 금의 손을 쓰면 사막에서 샘물이 솟아나와 이다. 즉 "비단강산 금손쓰면 사막샘물 솟아나와" 이다로 수정한다. 원래 금수강산은 수놓을 수(繡)자인데 전혀 다른 글자로 한자전에도 없는 글자이다. 地 ; 이세상에서 오직 한 사람(이사람 금홍수)이 가르치니 목마른자 영원히 없어지리라! 2024년 9월 26일 18시 31분. 한림도 미륵금성생불교 합동.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