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7월 19일 화요일
610 세론시(世論視) 7 (삼풍 상권 60~61쪽)
610 세론시(世論視) 7 (삼풍 상권 60~61쪽)
난구생문 생문하재 (難求生門 生門何在)
백석천정 백석하재 (白石泉井 白石何在)
심어계룡 계룡하재 (尋於鷄龍 鷄龍何在)
비산비야 비산비야 하재 (非山非野 非山非野 何在)
이인횡삼 십이월록 (二人橫三 十二月綠)
소석지 생지박 (小石之 生枝朴 )
요일대정 지하 (堯日大亭 之下 )
시역석정 (是亦石井 )
욕음자 촉생소원 성취 (欲飮者 促生所願 成就)
상모검기 (上慕劍旗 )
하찰주마 길운불리 (下察走馬 吉運不離)
심탐기지 (深探其地 )
해석; (1)
살아날문 찾지못해 살아날문 어디인가
흰돌은- 우물물에 흰돌은- 어디있나
사람모두 찾을계룡 계룡은- 어디있어
산도들도 아닌곳에 아니라면 어디있나
사람열팔 누를두점 열두달을 푸르르다
작은돌에 살아가니 두팔열손 풀점이라
빛날정자 사람두말 한점으로 갈것이며
날한점한 사람역시 한별말은 우물이라
마시기를 바라는자 살아나니 소원성취
위로는- 칼의깃발 생각하고
말한점을 살펴달려 길한운수 머지않다
그땅을 깊이깊이 찾아보아
해석; (2)
살아날 문은 흰돌우물 계룡산이 아닌 계룡이며,
사람에게 두 점을 누르는 장손는 늘 푸르고 작은 돌이 있는 곳으로 빛나
는 정자와 두 우물에댜 비유한 말이다.
이물을 마시는 자는 살아나고 소원성취를 하게 된다. 우물 위에는 칼의
깃발과 말달리는 길에 비유했다.
삼풍 상 중 하권 표지 참조.
2022년 7월 19일 18시 9분.
한림도 미륵금성생불교 합동.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