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6월 19일 금요일

574. 가사총론(歌辭總論) (15). 삼풍 하권 48, 49쪽 참조. "만경창파 대해변에(萬頃蒼波 大海邊에) 소산어염 부요하나(小産魚鹽 富饒하나) ~ 십승지지 출현하면(十勝之地 出現하면) 사말생초 당운이라(死末生初 當運이라)"

한림도






574. 가사총론(歌辭總論) (15). 삼풍 하권 48, 49쪽 참조. "만경창파 대해변에(萬頃蒼波 大海邊에) 소산어염 부요하나(小産魚鹽 富饒하나) ~  십승지지 출현하면(十勝之地 出現하면) 사말생초 당운이라(死末生初 當運이라)"



   만경창파 대해변에(萬頃蒼波 大海邊에)
   소산어염 부요하나(小産魚鹽 富饒하나)
   타국병선 왕래하니(他國兵船 往來하니)
   궁불재수 분명하다(弓不在水 分明하다)
  
해석; (1)
   만경창파 넓고넓은 큰바다     가에
   작은고기 소금생산 풍부하고 많다하나
   다른나라 병선들이 왕래하니
   활궁은     물에다가 안있는게 분명하다


해석; (2)
   만경창파 넓은 바다가에 작은 물고기 새우가 많이 잡히고
   염전이 있어서 소금을 생산하는 곳이지만, 다른 나라의
   병선 즉 전함들이 왕래하니 바다나 물에서 활 궁(弓)을
   찾지 못하는 것이 분명하다.


   불리산수 비야처를(不利山水 非野處를)
   인부평사 도원지로(仁富平沙 桃源地로)
   동반도중 우복동이(東半島中 牛腹洞이)
   청학신령 출입하니(靑鶴神靈 出入하니)


해석; (1)
   산과물은 득이없고 들도아니 이장소를
   인천부천 두팔뚫을 적은물의 지원도로
   두팔뚫을 섬가운데 날을열팔 배소동이
   두달열응 신령으로 두새덮어 출입하니


해석; (2)
   활 궁(弓)이란, 물에 있는 것도 아니니 산과 물에 있는 것도
   들에 있는 것도 아니더라. 사람에 있는 장소로 인천 부천에서
   두개의 내 천(川)자 즉 사람의 두 내(川, 川)에 있다.
   도원(桃源)과의 연관은 이사람 한림이 부천 소사에서
   인천 도원역 부근으로 이사하여 인천 부천을 왕래 하고있다.
   두 새를 덮어야 두 팔 뚫을 섬 가운데로 출입을 하게 되니,
   이땅을 말하여서 전라도와 지리산에 비유하였다.


   인왕사유 지리산이(人王四維 智異山이)
   십승으로 암시일세(十勝으로 暗示일세)
   십승지지 출현하면(十勝之地 出現하면)
   사말생초 당운이라(死末生初 當運이라)


해석; (1)
   인왕전과 사유라는 전라도의 지리산이
 (사람코꿸  흰구슬줄 지혜로운 다른두산)
   십승으로 암암리에 보여주고 있음일세
   십승의     땅이라고 나와서     보게하면
   죽음의끝 삶의시작 해당하는 운이더라


해석; (2)
   벼리 유(維)에서 벼리란, 그물의 위쪽 부분으로,
   그물코를 꿰어 잡아당겨가며 그물을 오므렸다 폈다 하는 줄이다.
   사유(四維)는 그물 라(羅)이다.
   인왕사유(人王四維)는 전라(全羅)이다. 전라(全羅)를 의역하면,
   인왕사유(人王四維)로 풀어야 한다. "사람의 코를 꿸 흰 구슬줄"
   지리산(智異山)은 "지혜로운 다른 산". 지혜로운 두 산이 있지만
   똑 같지는 않다는 말이다. "사람코꿸 흰구슬줄 지혜로운 다른두산"
   으로 해석한다. 수련을 해보면 실지로 이런 현상이 일어난다.
   흰 두 눈동자가 되면 코뿌리 산근혈을 꿰는 것과 같은 줄을
   만드는 기운의 파장이 일어난다. 이러한 일이 일어나도록 하니
   두 눈의 눈 산을 지혜로운 두 산이라고 표현했으며 통털어
   한마디로 줄인말을,
   인왕사유 지리산 즉 "전라 지리산"이라고 한 것이다.
   산수가 십승이 아니라고 하였으니 전라도 지리산은 십승이
   아니다. 그러면 "사람코꿸 흰구슬줄 지혜로운 다른두산"이
   십승(十勝)이라는 말이다. 바로 이곳이 십승의 땅이라고
   나와서 보게 하면 죽음의 끝이 되며 삶이시작에 해당하는
   운이더라는 것이다.




         2020년     06월     20일     13시     41분


                   한림도 미륵금성생불교 합동. 
                    桓林道 彌勒金姓生佛敎 合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