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65. 가사총론(歌辭總論) (6). 삼풍 하권 30, 31쪽 참조. "일일삼식 기아시에(一日三食 飢餓時에) 삼순구식 불기곡을(三旬九食 不飢穀을) ~ 낙반사유 황입복이(落盤四乳 黃入福而)쌍을지중 흑십승을(雙乙지中 黑十勝을)"
일일삼식 기아시에(一日三食 飢餓時에)
삼순구식 불기곡을(三旬九食 不飢穀을)
수승화강 변화수로(水勝火降 變化數로)
이소성대 해인화라(以小成大 海印化라)
해석; (1)
일일삼식 하게되면 굶주려서 죽을때에
한달에 구식해도 안주리는 곡식임을
오르내릴 수화일말 사람새점 변할수로
작은걸로 크게이룰 해인의 조화더라
해석; (2)
일일삼식은 굶주리나 삼순구식은 안 주리고 살아갈 곡식을
구하게 될 수화일 말에, 사람의 새점이!
반석용출 생명수는(盤石湧出 生命水는)
만국시령 다통하니(萬國심령 다通하니)
불로불사 음양도리(不老不死 陰陽道理)
쌍궁쌍을 조화로다(雙弓雙乙 造化로다)
해석; (1)
돌바탕에 뿜어나는 목숨구할 물로서는
우방국의 심령에도 모두가다 통하나니
늙지않고 죽지않는 음양도의 이치든가
두새손활 두새손새 조화로다
해석; (2)
오르내리면 해인의 조화가 되니, "두새손활"과 "두새손새"의
조화로, 늙지않고 죽지않는 음양의 이치가 된다.
사팔사을 쌍궁지중(四八四乙 雙弓之中)
백십승지 출현하고(白十勝地 出現하고)
낙반사유 황입복이(落盤四乳 黃入福而)
쌍을지중 흑십승을(雙乙지中 黑十勝을)
해석; (1)
두새두새 두말팔새 두새손활 뚫어갈말
한점말이 십승으로 출현하여 되게하고
낙반사유 두팔열어 누런배로 들게하면
두새손새 뚫어갈말 흑십승을
해석; (2)
"두새손활"을 "두새손새"로 수정한다. 두 새 손은 반드시 활로
가야한다 그런데 새로 간다면 흑십승이 된다는 말이다.
낙반사유로 두 팔을 열어서 몸통의 누런 배로 들어 가게 되면
두새손활이 아닌 두새손새(절 卍)가 되어 흑십승이 된다는 말이다.
선천법으로 불교의 절 만(卍)자를 말한다. 왜 그런지 알겠지만,
한번더 설명을 한다. 두 새야 맞지 이게 어떻게 되느냐 이지.
이게 활로 들어가지 않고 왜 배꼽 밑 한치5푼 자리 하단전으로
들어가서 그때부터 문제가 된거지. 그래서 똥이 들은 누런 배인
황입복이(黃入腹而) 라고 한거야.
두새손은 반드시 활로 가야한다.
2020년 05월 25일 20시 41분
한림도 미륵금성생불교 합동.
桓林道 彌勒金姓生佛敎 合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