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3월 20일 금요일

494. 소강절의 매화시(梅花詩); (9). 火龍蟄起 燕門秋(화룡칩기 연문추) 原壁應難 趙氏收 (원벽응난 조씨수) 一院奇花 春有主(일원기화 춘유주) 連宵風雨 不須秋(연소풍우 불수추)

한림도






494. 소강절의 매화시(梅花詩); (9). 火龍蟄起 燕門秋(화룡칩기 연문추) 原壁應難 趙氏收   (원벽응난 조씨수) 一院奇花 春有主(일원기화 춘유주) 連宵風雨 不須秋(연소풍우 불수추)





원문;
   火龍蟄起 燕門秋   화룡칩기 연문추
   原壁應難 趙氏收   원벽응난 조씨수
   一院奇花 春有主   일원기화 춘유주
   連宵風雨 不須秋   연소풍우 불수추


해석;
   달이 설 몸에 석점하면
   숨었던 것이 일어나고
   재비가 불화로 들어오네


   근원을 막을 바람
   어려움에 응하여도
   작은 달로 달리는
   두 나라 씨를 거두네.


   하나의 완벽한 고을의
   기특한 꽃이 정말인데
   八八八 三八을 말씀한
   한림이 주인이라고,


   밤과 비바람이 이어지면
   추수를 안해도 되잖아.


   파자해석;
   화룡(火龍); 사람의 팔로 달설몸에 석점.
   숨을 칩(蟄); 다행 행(幸),
   둥글 환 알 환(丸), 벌레 충(虫),
   원벽(原壁); 근원을 막은 바람 벽.
   응난(應難); 어려움에 응하다.
   조씨(趙氏); 작은 달로 달리는 씨, 두 나라.
   거둘 수(收).
   일원(一院); 한 집. 하나의 완벽한 고을.
   기화(奇花); 사람이 새점할 풀 정말인데
   기특할 기(奇).
   봄(春); 一三八口로 한(一)림(林)
   말씀하는 입 구(口) 고로 한림 말씀. 즉 한림도.
   이을 연(連)
   밤 소(宵); 밤(夜)이다.
   모름지기 수(須)
   불수(不須); ~할 필요가 없다.




       2020년     03월     21일     14시     35분.


         한림도 미륵 金성생불교 합동.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