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1월 10일 일요일

412. 한반도의 3변성도(韓半島의 三變成道)와 미륵불(彌勒佛)






412. 한반도의 3변성도(韓半島의 三變成道)와 미륵불(彌勒佛)



       
    한반도가 3번 변하여 道를 이룬다.
    아마도 지금까지 누구도 듣도보도 못한 일일 것이다.
    그런데 이사람 한림은 이일을 1981년부터 시작했다.


    道를 닦아서 이루는데는 천,지,인이 서로 한꺼번에 이루는
    것이라고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람은 道를 이루었는데 천,지는 그데로다 라면 이건 아니지.
    사람이 道를 이룬다면 천,지도 道를 같이 이루어야 한다는 말이다.


    天,地,人 3자가 모두 한꺼번에 道를 이루어야 한다 이다.


    그래서 우선 이사람의 경우를 먼저 설명해야 납득이 갈것 같아서
    가히 이사람은 道를 통했다는 말을 우선 한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들의 경우는 전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사람들의 경우도 이러한데 하늘과 땅이 道를 통했다는 말은
    전혀 알 수 없는 일이다.


    한림도의 성도(成道)는 일월 합기덕이다.
    일월은 음양이요 천지도 음양이다.
    합하여 천지일월음양이라고도 표현한다.


   사람이 닦는 道에는 하늘과 땅이 서로 함게 닦는 원리가 숨어있다.
   이것이 한림도의 원리이다.
   그런데 어째서 한반도냐 할 것이다.


   한반도는 지구의 중심축의 역할을 한다는 말들을 한다.
   어쨌던 한반도가 지구의 중심축이라면,
   하늘과 땅이 道를 닦는데 지구인 땅의 중심축 한반도가 道를
   닦는다는 것은 당연한 말이 아닐까 한다.


   한반도와의 인연이야 이땅에 살아가는 백성들이라면 모두가 다
   인연이 있지 그런데 왜 너만 혼자서 유난을 떠느냐 한다면,
   그래서 그것이 한반도와 닮은 지적의 땅을 구입하면서 부터 시작이 되었다.
   양백 하권 61쪽에 소개된 내용대로 안성시 "보개산에서 발굴한  우리나라
   지도와 삼태극"이란 명재에 소상히 소개를 하였다.
   1985년도에 이땅을 매입하면서 한반도의 3변성도는 1981년부터 시작한
   천지인 3변성도에 소급적용하여 급히급히 이루어져 나갔다.
   다음해 1986년 아시안개임의 남북통일 깃발로 등장하기도 했다.
   정치적 색채에 배합되기를 바라지 않았지만 어쩔수 없이 그렇게 자연히
   흘러갔다.


   한반도의 3변성도를 도출한 안성시 보개면(寶蓋面)의 보개산(寶蓋山)은
   보개(寶蓋)라는 명칭이 두 번이나 나온다.
   보개(寶蓋)란, 무슨 뜻이냐 하면, 그냥 직역하면 보배가 덮혔다는 말이다.
   그러나 보개(寶蓋)란 미륵불의 머리에 있는 평갓이란 말이 있다.
   안성시 자체가 미륵불 신앙의 메카이기도 하다. 많은 미륵불의 성지가
   있으며 특히 이산의 동측 기솔리 쪽으로 "궁예미륵불" 고불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 보개산 남측 북좌리에서 도통한 궁예의 미륵은
   중원대륙으로 나가지 못하고 그 꿈을 뒷날에 올 미륵불에게 넘긴 것일까?
   보개산 산 북측 남풍리에 본 한반도 닮은 지적의 땅이 있다.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보개면의 보개산이 미륵의 평갓이란 말을 설명해 보자.
   보배 보(寶), 덮을 개(蓋), 낯 면(面) 이 말은 "보배가 얼굴 낯에 덮혀 있데".
   보배 보(寶), 덮을 개(蓋), 매 산(山) 이 말은  "보배가 얼굴 낯에 덮혀 있는데
   그 장소가 매(산소의 모양)와 같이 둥그스름하게 불룩한 장소에 있다" 이다.
   그곳은 얼굴에서 어디일까?


   바로 이곳이 미륵을 먼 후세의 자손에게 알리고자 한 태고조상 "황궁"님의
   지혜가~ 오랠 미(彌) 굴레 륵(勒), 즉 태고 조상님의 굴레가 일만년이 지난
   오늘날 이 후손에까지 굴레로 씌워져 내려온 것은 지상낙원 마고성
   복원의 책임을 다하고자 한 것이리라. 바로 이것이 미륵(彌勒)이다.
   미륵과 한반도의 3변성도는 같이 함께하는 것이다.
   그래서 명재를 "한반도의 3변성도와 미륵불"이라고 하였다.


       2019년     11월     10일    18시    01분.


         한림도 미륵금성생불교 합동.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