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1월 29일 금요일

413. 말중운(末中運) 1. "말세는 장면과 조병옥의 선거유세시기에 말세란 말을 썼다."삼풍 하권 268쪽,269쪽 참조.










413. 말중운(末中運) 1. "말세는 장면과 조병옥의 선거유세시기에 말세란 말을 썼다."삼풍 하권 268쪽,269쪽 참조.







   욕식추산 말세사댄(慾識推算 末世事댄)
   양인상쟁 장궁사요(兩人相爭 長弓射요)
   이십구일 질주자는(二十九日 疾走者는)
   앙천통곡 원무심을(仰天痛哭 怨無心을)
해석(1);
   예측해서 알려하는 세상끝의 일들인데
   두사람이 유세하다 장씨가     쏨이지요
   이십구일 병들어서 유세하던 조모씨는
   하늘을     우러러     통곡하며 죽을 것을
해석(2);
   조병옥 장면 두 사람이 나타나는 때(이승만 정권 뒤에 내각재로
   개편되어 총리 선거에 장면과 조병옥박사가 선거유세하는 당시)
   가 되면 주의 하라고 경고한 말이다. 조병옥박사는 유세 도중
   심장마비로 사망 했다고 한다.
   장궁(長弓)을 합하면 배풀 장(張)으로 장면의 장(張)씨 성자이다.
   유세하면 서로 말로 쏘아대니 쏜다는 표현을 썼으며 또한 긴활
   (長弓)이니까 쏜다는 표현을 쓴 것으로 본다.








   실로방황 인민들아(失路彷徨 人民들아)
   조장났다 절단일세(趙張났다 絶斷일세)
   방도군자 수도인들(訪道君子 修道人들)
   고장낫네 피란가자(高張낫네 避亂가자)
해석(1);
   길을잃고 방황하는 백성들아
   조씨장씨 나타났다 절단일세
   도를찾는 군자나     수도하는 사람들은
   장씨성이 나타났에 피란가자
해석(2);
   실지로 이때, 전쟁이 일어날 정도로 그 때의 상황이 위급하였으므로
   장씨가 나타나면 전쟁이 일어날 것을 대비하여 피란을 예언함.




   부지시세 창생들아(不知時勢 蒼生들아)
   시운불행 질란일세(時運不幸 疾亂일세)
   처처봉기 가정들아(處處蜂起 假鄭들아)
   절부지이 발동이라(節不知而 發動이라)
해석(1);
   그때형세 알지못할 창생들아
   시운이     불행하면 질병으로 곤란일세
   곳곳에서 일어나는 가짜나라 이름들아
   계절을     모르고서 발동이라
해석(2);
   질병 또한 닥칠것을 예언하였고, 가짜 나라 이름을 들고 나오는
   사람들이 때를 알지 못하고서 발동하게 되리라고 하였다.








            2019년     11월     29일     21시 40분.


              한림도 미륵금성생불교 합동.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