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월 23일 수요일

309. 갑을가(甲乙歌) (3) "一萬년 만에 찾아온 道 기회를 잃지마라"




309. 갑을가(甲乙歌) (3) "一萬년 만에 찾아온 道 기회를 잃지마라"

        갑을상격 용사쟁 (甲乙相隔 龍蛇爭);
        새로열말 때놓고자 진사년에 분쟁있고
해석; 새로서 말을 열기위해서는 새가 말에서 떨어져야 한다.
          이말은 손이 도를 다 전수하게 되면 눈에서 떨어져야 한다.
          원래 갑진 을사인데, 갑과 진, 을과 사를 떨어뜨려 놓은것에 비유하고
          갑진 을사에 분쟁이 있더라도 도를 잊어서는 안된다는 암시이기도 하다.

       운중모옥 운소고 (雲中茅屋 雲소高);
       제집중에 이를석점 하늘높이 이를석점
해석; 구름 가운데 초가집 같은 자신의 몸집 에 석점이 이르게 되면
          즉 도를 전수하기 위하여 초가집 지붕처럼 생긴 자신의 눈망울 위에
          석점을 찍으려면 하늘 높이 올라가야 한다 라고,

        시호시호 부재래 (時乎時乎 不再來);
        호사한말 호사한말 다시오지 않으리라
해석; 눈에 올 기회란 한번지나가 버리면 언재 다시 올지 모른 다.
          이런 의미에서 볼때,
          말인 눈이 엄청나게 호사한다 라고 두 번 연거퍼 반복한 것이다.
          눈이 아니면 절대로 도(道)를 전수 받을수 없는 절대절명의 순간임을
          암시 하였으므로 그러하다. 1만년 만에 전수 받는 도(道)이기에
          이런 기회는 다시는 오지 않는다고 한 것이다.

         인내인내 우인내 (忍耐忍耐 又忍耐);
         새점한도 새점한도 새점한도 손에두내
해석; 인내하고 인내하고 또 인내하여,
          새점한도 새점한도 새점한도 손에 두내란 말은
          도를 전수하는 이사람 한림의 "손"을 밝힌 글인데 좀 알아봐 주었으면
          "한림도"라는 이거 하나 가지고 죽기 아니면 살기로 살아온 새월이기에...

                       2019년   1월   24일   16시  33분.

                            한림도 미륵금성생불 합동.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