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4월 28일 목요일

201 새 생명의 길(한림도 수련 비법 공개)


 

201 새 생명의 길(한림도 수련 비법 공개)


   1. 이 수련법은 인체에 발생되는 질병을 물리친다.

      인체의 질병은 대부분 순환이 막혀서 일어난다.
      지구의 순환작용으로 모든 생물이 화생하듯이
      인체도 지구와 같은 순환작용을 거듭하고 있는데
      이것을 옛사람들이 "수승화강(水昇火降)" 이라고 하였다.
      물론 이 말은 본 도서(道書) 삼풍 양백에 있는 말이며,
      인류의 문화유산 동의보감에도 있는 말이다.
  
   2. 이 수련법은 인체의 모든 장기와 신체 조직들의
      기능을 되살아나게 할 수 있다.

      하늘에 있는 열기가 지표면으로 내려와 물을 증발시켜
     수증기가 하늘로 올라가면 화강수승 즉 수승화강이
     일어나는 것이다.
     지구가 이렇게 순환작용을 거듭하여 많은 생물이
     화생하여 온전한 것처럼
    사람도 이와 같이 인체순환 작용을 거듭하면
    모든 신체조직들의 기능은 자연히 되살아나게 되는 것이다.

  3. 이 수련법은 오염 물질이나 독소를 정화하는
     능력을 도울 수 있다.

     오늘날 수질이 오염되어 정수물을 마시는 것처럼
     인체 대사의 수분도
     인체 내부의 정수장치를 반드시 거치게 되어있는 것이다.
     인체의 수분 중 혈액은 신장인 콩팥에서 사구체가 걸러내고
     방광에서는 수분을 함유한 노폐물을 뇨관을
     통해서 밖으로 배출하고 있다.
     또한 인체내부의 해독 작용은 간이 담당하고 있다.
     여과나 해독하는 기관도 극심한 스트레스나 공해,
     장기나 인체 조직의 기능 저하,
     인체의 노화로 인하여 그 기능이 점점 약화되어
     드디어는 질병에 노출되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인체가 질병에 노출되면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러가지 방안들이 동원된다.
     독소의 해독을 돕고 노폐물의 정수를 돕는 장치가
     의학용구나 약으로 실제 동원되고 있다.
     처음은 약이나 의료기구를 수련법과 병행하여 사용하다가
     다음부터는 순수 이 수련법으로 정화기능을 돕게하면
     독소를 해독하는 간 기능을 돕고
     혈액이나 수분의 노폐물을 정수하는 신장과 방광의
     기능을 도와
     오염 물질이나 독소를 정화하는 원래의 능력이 회복되어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항진 시키게 될것이다.

  4. 이 수련법을 계속하면 질병을 물리치는 능력이 증진되어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항진 시킬 수 있다.

  5. 이 수련법은 고도한 정신수련으로 집중력과 기억력이 향상되고
     두뇌활동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고도한 과학 문명이나 기술분야 문예예술 분야의
     종사자들에게 창작과 발명 발견등을 도울 것이며
     특히 수험생들의 집중력 향상과 입시 공부에 도움이 될 것이다.

  6. 이 수련법은 거짓된 마음을 진실한 마음으로 바꾸는 역할을 하며,
     계속하여 수련하면 영원히 진실된 사람으로 살아가게 할 것이다.

7.  이 수련법은 초인적인 영적 감각능력을 갖게하여 각자 맡은
     분야에서 신동(神童),
     신인(神人)의 경지에 도달하게 할 것이다.

  8, 이 수련법은 생사해탈의 경지에 접어들게 하여 우주법계와
     하나가 되는
     신성인(神聖人)의 경지에 도달 할 수 있게 할 것이다.

  9. 이 수련법의 원래 스승님은 허공신인(虛空神人) 이시다.

     수련하다 보면 표적을 여러가지 형태로 드러내시는데,
     물론 확실히 함께하심을 보여주시는데,
     대다수 사람들 마다 공통적인 형상체는,
     "비물질체(非物質體)"로 나타내 보이신다.

  10. 기타 수 많은 경우에 해당하는 설명들은  삼풍 양백에서
      낱낱이 잘 소개하였으니 참조 바란다.
  
                         2009년   10월  27일 17시  19분

                         미륵 금성생불 합동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