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10일 금요일
651. 말운론(末運論) 26 (삼풍 상권 146, 147쪽) 모동소망 원무심(毛童所望 㤪無心) ~ 타고애원 불길조(打膏哀冤 不吉兆).
651. 말운론(末運論) 26 (삼풍 상권 146, 147쪽) 모동소망 원무심(毛童所望 㤪無心) ~ 타고애원 불길조(打膏哀冤 不吉兆).
원문 ;
天 ;
모동소망 원무심(毛童所望 㤪無心)
삼남제일 길성지(三南第一 吉星地)
월하탄금 우명성(月下彈琴 牛鳴聲)
탈겁중생 변화처(脫劫重生 變化處)
地 ;
*집형안 생령합(執衡按 生靈合)
인불내이 선입운(忍不耐而 先入運)
우자탐리 목전화(愚者貪利 目前禍)
세인하사 승기염(世人何事 勝己厭)
人 ;
천의거역 낭패사(天意拒逆 狼狽事)
견인출거 (見人出去 )
타고애원 불길조(打膏哀冤 不吉兆)
해석 ; 1
天 ;
털이선 마을이 바랄장소 아니라고
활뚫을별 남한인대 길한날이 날땅이라
달에한점 거문고탈 엄마소리 들리는가
중생겁을 벗겨내어 해탈하는 변화천가
地 ;
잘달아서 *누르며는 생령으로 합할텐데
참지를 못하고서 먼저드는 운때이면
이득쫓는 우둔한자 눈앞의화 면치못해
세상사람 어떤일로 십승몸을 싫어할꼬
*"살펴보면"을 "누르며는"으로 수정.
人 ;
하늘뜻을 거역하니 낭패를 당하리라
날볼사람 가버리면
가슴치고 애통하나 불길한 징조더라
해석 ; 2
天 ;
道를 전하는 이사람 한림 금홍수가 있는 곳은 남한이며, 도를 받게
되면 해탈이 된다.
*사람의 몸에 털이 뻣뻣한 장소를 찾아보아라.
地 ;
모든것은 때가 있는 것인데, 이해 득실을 너무 따지면 화를 당하게 될
것이다.
*집형안(執衡按)에서 안(按)자가, 농궁가와 말운론은
按자 아래 木자가 들어있다. 그러나 출장론은 이按
자이다. 누를 안(按)자를 더 보충하기 위하여 木자를
덧붙인 것으로 본다. 누르는데(按) 팔(八)을 열(十)어 누르게 되니까
按자 아래 木자를 덧붙였다고 본다.
道의 실체를 모두다 알고있는 격암의 입장에서 볼 때 어떻게 하면
후세인에게 이글을 좀더 쉽게 전달할까 였지만,
道를 알지못하고 한문자 좀 안다고 경거망동하여,
道와는 상관없이 해석하는 사람들에게는 삼천포로 빠지도록 한 비밀의 글이다.
人 ;
이사람이 전할때 빨리와서 새점을 받는 것은 하늘의 뜻인데, 때가 지
나가면 이사람이 전하지 아니하니 통탄해도 소용이 없으리라!
*털이 뻣뻣이 서있는 장소는 본서 표지 얼굴을 참조해라.
2024년 5월 11일 11시 12분.
한림도 미륵금성생불교 합동.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