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21일 화요일

606. 세론시(世論視) 3 (삼풍 상권 52쪽~53쪽)

606. 세론시(世論視) 3 (삼풍 상권 52쪽~53쪽) 백이채미 유부세이 (白夷採微 由父洗耳) 막탐부귀 비명횡사 (莫貪富貴 非命橫死) 구음불청 하필모상 (久陰不晴 下必謨上) 수위부모 갈효수작 (誰爲父母 竭孝誰作) 생사판단 비룡롱주 (生死判端 飛龍弄珠) 세유기인 공찰만물 (世有其人 公察萬物) 기성위수 부지야- (其姓爲誰 不知也- ) 횡이위주 좌우쌍삼 (橫二爲柱 左右雙三) 물한기수 물상추의 (勿恨其誰 勿上追衣) 우위기수 여단여장 (又爲其誰 如短如長) 종덕반백 - - - - (種德半百 - - - - ) 구장궁취 마- - - (久粧弓揣 摩- - - ) 해석 ; 1 고사리켈 백이숙재 귀를씻는 허유- - 부귀를- 탐치마라 비명횡사 한다더라 오랜세월 더러워져 상하가- 작당하니 누가부모 되려하며 자식되어 효도할까 생사판단 비룡이- 여의주를 굴리듯이 세상에서 그사람은 만물을- 옳게살펴 그성이- 주구인지 모른다고 하지마는 가로된이 기둥세워 좌우각삼 아닐비세 그수한정 말고옷의 더하지- 말아라- 그또한- 그수될지 짧은건지 긴건지 - 자축거려 뚫을두팔 열망한맘 날점한씨 오랫동란 헤아리고 단정하며 활을갈아 해석 ; 2 부귀와 권력을 탐하여서 상하가 작당하니 백성들은 무엇을 배워서 어떻 게 살아갈까? 이런 것을 살피는 사람이 있으니 본서의 표지를 참조해라. 이사람의 이 부분을 알리고자 반백이 되도록 갈고 닦은 세월이다. 취또는 췌(揣; 잴췌,헤아릴 취, 헤아릴 췌). 오랫동안 이리 재보고 저리 재보면서 헤아려 보기도 하고 온 세월이다. 왜냐하면 선경과 명부를 다녀왔어도, 보다 더 참되고 훌륭한 사람이 이미 나와 있다면 그사람을 따르리라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아직 그런 사람은 없었다. 선경을 보고 명부를 본 사람이 있는지 찾아 다녔다. 그러나 내가 찾는 사람들은 없었다. 2022년 6월 21일 18시 33분. 한림도 미륵금성생불교 합동.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