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월 28일 월요일

321. 갑을가(甲乙歌) (8) 삼풍하권 318,319쪽




321. 갑을가(甲乙歌) (8) 삼풍하권 318,319쪽


        암암성사 대사업 (暗暗成事 大事業);
        두날세워 두날세워 이루는일 인사한일

        시지부지 무소망 (時至不知 無所望);
        때가되도 모르며는 바랄것이 없어지며

        풍풍우우 분분설 (風風雨雨 紛紛雪);
        석점바람 석점바람 두분이실 손석점이

        갑을당운 승패시 (甲乙當運 勝敗時);
        새로열말 해당할운 이기고--- 질때-----

 해석; 인사하듯이 일하는 두 눈인데, 어두워지듯
           두 눈을 감아야 일을 이룬다고 했다.
           감은 눈이라야 道를 전하는 사업이 된다.

           시지부지하여 때가 되어도 모르면 바랄것이
           없다고 하였다. 때가 왔으면 잡아야지.
           지나가 버리면 다시 안올 때이기 때문이다.
           道를 전수 받는 것도 문제가 되겠지만, 道를
           닦는 것도 해당하는 시기가 지나면 어려워.

           두 눈을 감고 道를 전수받기 위하여
           좌우에 각각 석점씩 찍어주기를 바라고
           바라는데 두 손의 두 엄지손가락이
           손점을 살짝 살짝 살짝 찍으려고 잠시
           잠간 동안 쉰다고 하였다.

           갑술을해에 시작해서 갑진을사에 마무리
           할적에 손새로 열을 말이라고 운을 당해
           이기고 지는 승패를 가릴 때에

           * 道를 알아야 道의 글이 해석될 것이다.*


                     2019년   1월   28일   21시   44분.

                      한림도 미륵금성생불교 합동.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