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34 말중운(末中運) (15) 삼풍 하권 296쪽, 297쪽 참조. "소두무족 비화락에(小頭無足 飛火落에) 천조일손 극비운을(千祖一孫 極秘運을)" 소두무족(小頭無足)을 道의 입장에서 해석한다면, "작은머리 발없는콩"으로, "두 눈동자"를 말한다.
백마공자 득운으로(白馬公子 得運으로)
백마장이 이름인고(白馬場이 이름인고)
백마승인 후종자는(白馬乘人 後從者는)
선관선여 천군이라(仙官仙女 天軍이라)
해석; (1)
점날말은 사람이 팔자운을 얻음으로
점날말은 날에일토 없을말이 이름인고
점날말은 탄사람 뒤를 쫓는자는
쫓을두산 갓이여 이사람의 군사이라
해석; (2)
경오년에 점이 날 말은 사람이 팔자의 운을 얻음으로
경오년에 점이 날 말은 날(日)에 일(一)토(土) 없을 말 즉
말이 없는 것이 이름인 것인고.
경오년에 점이 날 말을 탄사람의 뒤를 쫓아가는 사람은
쫓을 두 산이 갓이여 그 갓이 이사람의 군사이라.
철마삼천 자천래는(鐵馬三千 自天來는)
조의조관 주동서를(鳥衣鳥冠 走東西를)
육각천산 조비절에(六角千山 鳥飛絶에)
팔인만경 인적멸을(八人萬逕 人跡滅을)
해석; (1)
동이금말 별열린자 이사람이 열팔쫓는
두새가 의관되어 달리는 동과서를
육뿔두팔 별열산에 새가날다 끊어짐에
사람의팔 만길에도 사람자취 없어짐에
해석; (2)
경오년에 동이의 금(金)말 한림은 별이 열린자로 이사람이
열을 팔을 쫓는데, 두 새가 의관이 되어 동과 서로 달려가네
육(六)의 뿔(角) 두 팔(八)이 별을 열을 산에 새가 날다가
끊어지게 됨으로 사람의 팔 만길에도 사람의 자취가 없어
짐에.
차호만산 일남이요(嗟乎萬山 一男이요)
애재천산 구녀로다(哀栽千山 九女로다)
소두무족 비화락에(小頭無足 飛火落에)
천조일손 극비운을(千祖一孫 極秘運을)
해석; (1)
오호라 탄식하니 만산에 한남자요
오호라 슬프구나 천산에 구녀로다
작은머리 발없는콩 팔날사람 떨어짐에
천조상에 한자손인 극히슬픈 운수임을
해석; (2)
사람의 팔 만길에도 사람의 자취가 끊어짐으로
일 만개의 산에서 한 남자가 살아남고,
일 천개의 산에서 아홉 여자가 살아 남네.
작은 머리 발 없는 콩에 팔(八)이 날 사람 즉 道를
전수받을 사람이 없어진다는 말이다.
천 조상에 한 자손이 겨우 살아남는 극히 슬픈 운수라고
하니 이 글을 보는 수도인들은
이 글을 많이전파하여 공덕을 쌓기 바란다.
소두무족(小頭無足)은 작을 소(小)자에서 콩은 팔(八),
발은 小자 중앙의 1획 부수로 쓰는 "갈구리 궐"자이다.
작을(小)자의 머리(혈頁)에 발(足)이 없어지면(無) 콩(豆)만
남는데 小자 좌우측의 八점을 말한다.
이것을 그냥 "작은머리 발없는 콩"으로 해석 했다.
소두무족을 道의 입장에서 해석한다면,
"작은머리 발없는콩"으로, 두 눈동자를 말한다.
2020년 1월 12일 24시 45분.
한림도 미륵금성생불교 합동.
댓글 없음:
댓글 쓰기